안녕하세요, SN독학기숙학원입니다 😊
보기만 해도 수능 점수가 오르는 고전문학 시리즈 제12탄. 오늘은 조선 중기 문인 박선장이 지은 교훈 가사, 「오륜가(五倫歌)」를 소개합니다.
오륜(五倫)의 의미
'오륜(五倫)'이란 유교 윤리의 핵심인 다섯 가지 인간관계를 말합니다.
부자유친(父子有親)
부모와 자식 사이에는 인(仁)과 친애가 있어야 하며
군신유의(君臣有義)
임금과 신하의 관계에는 의(義)가 있어야 하고
부부유별(夫婦有別)
부부는 서로의 역할과 예를 지키며
장유유서(長幼有序)
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질서가 있으며
붕우유신(朋友有信)
친구 간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
작품의 역사적 배경
박선장은 1612년(광해군 4년), 혼탁해지는 세태 속에서 올바른 질서와 인간관계의 회복이 필요하다고 느껴, 마을의 젊은 선비들에게 삶의 기준을 세워주기 위해 이 작품을 지었다고 전해집니다.
- 조선 중기 광해군 시대(1612년) 작품
- 교훈 가사의 대표작
- 사회 혼란기에 지어진 윤리 교재
- 젊은 선비들을 위한 삶의 지침서
오륜가의 현대적 의미
즉 「오륜가」는 단순한 '윤리 암송문'이 아니라, 사회가 혼란할수록 개인이 지켜야 할 삶의 기준을 되돌아보게 하는 작품입니다.
지금 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한, '품격 있는 관계의 조건'이 담겨 있습니다.
"AI 그림과 친절한 해설로 즐기는 고전문학." 작품을 감상하는 것만으로도 사고력·문장력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수능 대비뿐 아니라 인문 교양까지 함께 얻어가는, SN독학기숙학원의 고전문학 시리즈와 함께하세요!
사회가 복잡해질수록 기본적인 인간관계의 원칙이 더욱 중요해집니다. 오륜가는 단순한 옛날 이야기가 아니라, 지금도 우리가 지켜야 할 관계의 기준을 제시합니다.
Oryun-ga (五倫歌) – "The Song of the Five Confucian Relationships"
"Oryun-ga" is a moral poem composed in 1612 by the scholar Park Seon-jang during the mid-Joseon Dynasty. The work explains the Five Confucian Relationships (Oryun) that form the foundation of traditional Korean ethics:
- Filial affec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Buja Yuchin)
- Righteousness between ruler and subject (Gunshin Uui)
- Proper distinc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Bubu Ubyeol)
- Order between elder and younger (Jangyu Yuseo)
- Trust between friends (Bungu Uisin)
The poem was written to educate young scholars and restore proper morals amid a time of social disorder. Rather than a mere ethical summary, it reflects the Confucian ideal that a harmonious society begins with upright personal conduct and respectful relationships.